"혹시 디스크라고 알려진 추간판탈출증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추간판탈출증의 경우 추간판 내부의 젤리 같은 수핵이 탈출해 척추 신경을 압박함으로 엄청난 통증이 유발되는 것인데요.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된 추간판탈출증의 경우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않는다면
치료적인 의료 보상을 받지 못 해 억울한 상황에 놓이거나 심적으로도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면 우선적으로 교통사고변호사를 통해 전문 법률상담을 받고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보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보험 보상의 경우는 빠른 대응이 가장 유리한 방법이며 보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소송을 대응하거나 준비하는 것이 유리한 방법입니다.
교통사고로 인한 추간판탈출증으로 후유장해를 얻어 보상을 받고자 소송을 진행하여 승소한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A씨는 차량을 운전하여 서울 영등포구 00도로를 진행하던 중 신호대기로 전방에 정차해 있던 B씨 운전의 차량 후미 부분을 추돌하여
B씨 차량의 조수석에 동승해 있던 C씨에게 경추 추간판 탈출증 등의 부상을 입게 하였습니다.
C씨는 이 사건 사고로 2013년 12월 20일부터 2014년 10월 25일까지 사이에 총 52일간 입원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위와 같은 사고로 후유장해에 대한 기여도가 50%가 잡혔으며 입원기간 동안 노동능력을 50%만 상실한 것으로 보았습니다.
추간판탈출증의 경우 일실수입에 해당하는 손배배상액 계산표를 기초사항을 기반으로
후유장해에 대한 노동능력상실률을 측정하여 향후치료비와 위자료를 책정하게 되었습니다.
위 의뢰인은 추간판탈출증으로 보험사로부터 보상을 받지 못해
교통사고 후유증에 대한 소송을 진행하였고 승소하게 하였습니다.
개인이 보험사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하는 방법은 가장 어렵고 오랜 외로운 싸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보험사와의 분쟁으로 제대로 된 보상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신지영 변호사의 한수로가 디딤돌 역할을 하겠습니다.
한수로의 모든 임직원은 의뢰인의 사건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전문가와의 1:1 무료법률 상담을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