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시 차 VS 사람의 경우, 차보다는 사람이 받는 충격이 크기 때문에 대부분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골절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골절 중에서도 큰 충격에 의한 사고는 개방성 골절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방성 골절은 충격에 의해 찢어진 상처를 통해 골절 부위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개방성 골절이라고 합니다. 피부와 뼈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폐쇄성 골절과는 다르게 세균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며 대게 응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라면 교통사고로 인한 개방성 골절인 경우 후유 장해와 보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방성 골절은 뼈가 부러지면서 살을 뚫고 뼈가 튀어나온 상태이기 때문에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고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치료 후에도 외부의 균이 침입하여 감염된 경우 또 다른 질병에 감염이 될 수도 있으며 큰 후유 장해가 남아 오랜 시간 완치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개방성 골절 후유 장해 보상 가능한가요?
개방성 골절의 경우, 폐쇄성 골절과 달리 부상 당시 분쇄골절이 발생되기도 하며 신경 손상까지 동반될 수 있어 큰 후유 장해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균의 침입으로 인해 뼈와 골수를 파괴하여 외상 후 만성 골수염의 후유증으로 고생할 수 있습니다. 관절 장해 또는 보행 장해가 발생된 경우 반드시 후유 장해 진단을 받아 보상을 제대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는 후유 장해 상태에 대한 적정한 장해 진단을 받지 못해 분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개방성 골절의 경우,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후유장해 여부 판단과 보상에 대해 상담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개방성 골절 후유 장해
1. 불유합 : 개방성 골절의 경우 외부 감염으로 인해 불유합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부정유합 : 개방성 골절과 분쇄성 골절일 경우 골편에 대한 정복술을 시행했어도 부정유합이 발생될 위험이 있습니다.
3. 강직장해 : 개방성 골절이 된 부위가 관절면이거나 가까운 부위일 경우 회복된 이후에도 관절의 강직으로 인해 움직임이 불편해질 수 있는 후유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후유장해 보상금의 경우 고액의 보상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보험사 입장에서는 까다로운 심사를 진행하며 삭감 또는 면책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후유장해 보상을 받고자 할 경우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제대로 보상을 받을 수 방법을 찾아보시기를 바랍니다. 후유장해가 한시적일 수 있으나 오랜 통증이 계속해 따라올 수도 있습니다. 오랜 기간 후유장해로 인해 일상생활을 할 수 없어 생활고에 시달리게 된다면 절망적일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제대로 된 보상을 받고 추후 치료에도 매진하시길 바랍니다.
법무법인 건우의 한수로는 교통사고 · 보험 전문으로 다수의 소송에 승소한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상황에 맞는 1:1 무료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고로 인해 제대로 된 보상을 받을 수 없어 억울하시다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시기를 바랍니다.